문제 설명
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,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.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.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,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.
전체 학생의 수 n,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,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.
-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.
-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.
-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
-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.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,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.
입출력 예
입출력 예 설명
예제 #1
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,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.
예제 #2
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.
코드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n, int[] lost, int[] reserve) {
int answer = n-lost.length;
Arrays.sort(reserve);
Arrays.sort(lost);
for(int i=0; i<lost.length; i++) {
for(int j=0; j<reserve.length; j++) {
if(lost[i] == reserve[j]){
answer++;
lost[i] = -1;
reserve[j] = -1;
}
}
}
for(int i=0; i<lost.length; i++) {
for(int j=0; j<reserve.length; j++) {
if(lost[i]+1 == reserve[j] || lost[i]-1 == reserve[j]) {
reserve[j] = -1;
answer++;
break;
}
}
}
return answer;
}
}
풀이
전체 학생 n명 중에 체육복이 없는 사람은 lost.length만큼인거니까 n-lost.length로 answer를 초기화한다. 그리고 reserve, sort 배열 모두 정렬을 해준다.
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하게 되면 자신의 것만 있기 때문에 빌려줄 수 없다. 이중 for문을 돌려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는지 확인하고 도난을 당했다면 lost.length에 포함되어 -1이 되었던 것을 되돌려주기 위해 answer++을 해준 후, 해당 학생이 있는 자리에 -1을 넣어준다.
그리고 여벌의 옷을 몇 명에게 빌려줄 수 있는지 체크하기 위해 또 이중 for문을 돌려준다. 4번학생의 경우에는 3번이나 5번 학생에게만 빌려줄 수 있기 때문에 lost[i]+1이나 lost[i]-1이 reserve[j]와 같으면 옷을 빌려준 학생은 더이상 여벌 옷이 없는 것이니까 해당 자리에 -1을 넣어주고, 옷을 빌린 학생이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answer++을 해준다.
다른 코드와 풀이
아래의 코드는 다른 사람들이 작성한 것들로, 내 코드와 비교, 참고하기 위해 가져왔다.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n, int[] lost, int[] reserve) {
int[] people = new int[n];
int answer = n;
for (int l : lost)
people[l-1]--;
for (int r : reserve)
people[r-1]++;
for (int i = 0; i < people.length; i++) {
if(people[i] == -1) {
if(i-1>=0 && people[i-1] == 1) {
people[i]++;
people[i-1]--;
}else if(i+1< people.length && people[i+1] == 1) {
people[i]++;
people[i+1]--;
}else
answer--;
}
}
return answer;
}
}
answer는 학생 수인 n으로 초기값을 준다. 6-9번째 줄 처럼 for문을 통해 lost와 reserve에서 학생 번호를 하나씩 꺼내와 -1을 한 값을 people의 인덱스 번호라고 생각하고 lost에 있으면 1만큼 감소시키고, reserve에 있으면 1만큼 증가시켜 각각의 학생이 가지고 있는 옷을 구해준다. 그러면 옷을 도난당했으면 -1, 자기자신이 입을 옷만 있으면 0, 여벌 옷이 있으면 1이 된다.
사람 수만큼 for문을 돌려 만약 i번째 사람이 -1로 옷이 없다면 i가 i-1, i+1이 범위를 넘지않고 옆 사람들이 여벌의 옷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옷을 빌린 i번째 사람은 1만큼 증가시키고, 빌려준 사람은 1만큼 감소시켜준다. 그리고 앞뒤로 체육복을 빌려줄 사람이 없어 체육복을 빌리지 못하는 학생은 answer--해준다.
'Coding 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31209 완주하지 못한 선수 - Level 1 (0) | 2023.12.09 |
---|---|
231130 문자열 나누기 - Level 1 (0) | 2023.11.30 |
231128 로또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- Level 1 (1) | 2023.11.28 |
231127 덧칠하기 - Level 1 (2) | 2023.11.27 |
231125 2016년 - Level 1 (1) | 2023.11.25 |